스포티파이 테크놀로지(Spotify)는 2006년 스웨덴에서 설립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기업입니다.
전 세계적으로 6억 7천만명 이상의 월간 활성 사용자(MAU)와
2억 6천 3백만 명 이상의 유료 구독자를 보유한 스포티파이는
음악 스트리밍 시장의 선두주자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.
스포티파이는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음악 추천, 팟캐스트, 오디오북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,
AI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서비스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.
현재 20개국 이상의 국가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.
브라질, 인도네시아 등 신규 시장에서 급격한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.
* 팟캐스트?
애플 사의 iPod과 Broadcast RSS의 혼합어로,
디지털 (오디오 및 영상) 파일로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서비스를 칭한다.
현재 애플 외에도 많은 플랫폼이 도입했으며,
다양한 콘텐츠를 원하는 시간대에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을 통해 라디오의 자리를 넘보는 중이다.
테마
- 음악(Music)
- 스트리밍(Streaming)
- AI 기술(Artificial Intelligence)
- 개인화(Personalization)
- 팟캐스트(Podcast)
- 오디오북(Audiobook)
- 글로벌 시장(Global Market)
- 콘텐츠 제작(Content Creation)
- 데이터 분석(Data Analytics)
- 사용자 경험(User Experience)
투자 및 협력 관계
주요 투자자로는 테슬라의 CEO 엘론 머스크, 텐센트, 소프트뱅크 등이 있습니다.
특히 텐센트는 2017년 스포티파이에 10억 달러를 투자하며,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협력 관계를 강화했습니다.
주요 협력사
- 테슬라(Tesla): 테슬라 차량 내에서 스포티파이 앱을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되었습니다.
- 볼보(Volvo): 볼보 차량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스포티파이 서비스가 탑재되었습니다.
- 보스(Bose): 보스의 스마트 스피커와 헤드폰에서 스포티파이 서비스를 지원합니다.
- 인스타그램(Instagram): 인스타그램 스토리에서 스포티파이 음악을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
- 틱톡(TikTok): 틱톡과의 협력을 통해 음악 트렌드와 바이럴 콘텐츠를 확산시키고 있습니다.
- 구글(Google): 구글 어시스턴트와의 통합을 통해 음성 명령으로 음악 재생이 가능합니다.
- 페이스북(Facebook): 페이스북과의 협력을 통해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음악 공유 기능을 강화했습니다.
- 텐센트(Tencent): 중국의 거대 테크 기업으로, 스포티파이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아시아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습니다.
* 자동차 산업, SNS 산업과 주로 협력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.
음악 산업의 새로운 강력한 경쟁자가 나타나지 않는 이상 사업의 성장성은 좋을 것으로 예측됩니다.
재무제표 분석
21년~23년까지 하락세를 면치 못 하다가 23년부터 25년까지 10배 가까이 주가가 성장했습니다.
미래에 대한 기대감이 있는 산업이 아니기 때문에 손익계산서를 보면 명확히 알 수 있는데요.
매출액은 꾸준히 성장하였지만 23년까지 순이익 적자를 면치 못 하고 있었습니다.
그러다가 24년부터 흑자 전환하였고
분기 실적을 보시면 성공적으로 흑자 전환을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.
성공적인 흑자 전환을 하면서도 계속적으로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
성장 가능성이 남아 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.
최근 이슈
- 팟캐스트 사업 지원 확장하며 유튜브 넷플릭스 애플과 경쟁하는 멀티플랫폼 기업으로 변화
- 고급 프리미엄 요금제 강화(프리미엄 요금제 2회 인상)
- 24년 11월 이후 공동창업자의 7억 달러 규모 주식 매각
- 트럼프 관세 영향 받지 않는 기업으로 수혜
- 작곡 로열티 관련 재판 승소
스포티파이 테크놀로지의 주가 전망
월간 이용자 수의 꾸준한 성장과 요금제 인상으로 수익성 강화
트럼프 관세 영향을 빗겨가는 등 긍정적인 내용도 많이 있습니다.
그러나 현재 PER이 108배 정도인 점을 보아 주가가 과대 평가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.
얼마 안 있어 조정이 찾아올 거 같습니다.(창업자의 주식 매각)
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우상향 할 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.
그 이유로는 아직 개척할 해외시장이 많이 남아있다는 점.
기업간의 계약을 통해 수익을 추가적으로 창출할 수 있다는 점.
단순 음악 기업에서 넷플릭스와 유튜브와 같은 멀티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
기업의 수익성은 더욱 개선될 거 같습니다.
조정 이후 한 번 매수를 고려해보면 좋을 거 같습니다.
'경제 읽기와 투자 전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커젼 파마슈티컬스(Recursion Pharmaceuticals): 제약과 테크바이오의 혁신, 주가 전망은? (5) | 2025.02.27 |
---|---|
파가야 테크놀로지스(PGY) 주가 전망, 기업 분석: AI 기술과 금융 혁신의 중심에 서다 (6) | 2025.02.26 |
로켓랩(RKLB), 우주 산업의 새로운 혁명을 이끌다: 주가 전망, 기업분석 (10) | 2025.02.24 |
리게티 컴퓨팅: 양자 컴퓨팅의 미래를 열다 기업 분석 및 주가 전망 (14) | 2025.02.23 |
템퍼스 AI : 기업분석 주가전망 - 헬스케어 산업을 혁신하는 AI 기술의 선두주자 (8) | 2025.02.22 |